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x8R0v/btq6zVTDHOt/fTUVKMgPRAPEqroI6bL3r1/img.jpg)
GO 배틀 리그 : 배틀 파티 짜보기 |
이번 포스팅에서는 배틀파티를 짜는 법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볼까 합니다. 1시즌 시작 전까지 프리시즌 기간이기 때문에, 승패에 연연하지 말고 자신의 손에 익는 파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.
1. PvP IV 식별하기 |
레이드 (PvE)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포켓몬의 IV와, PvP에서 사용하는 IV는 약간 다릅니다. 레이드에서는 15/15/15가 최대 성능의 IV이지만, PvP에서는 공격을 낮추고 체력과 방어를 높이는 것이 유익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
해외 커뮤니티의 말을 빌리면, 하나의 양동이 (CP 제한)에 큰 돌 (공격 IV)과 작은 돌 (체력, 방어 IV)를 최대한 많은 개수를 넣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양동이에 큰 돌을 많이 넣으면 빈 공간이 생길테니, 작은 돌을 많이 넣었을 때보다 많이 넣지 못해 효율적이지 못하다...는 정도로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우연히 공격 IV가 높음에도 딱 맞아 CP 1500이 될 수는 있습니다. 이 경우 CP가 1450~70 정도로 애매하게 맞춰지는 것보다 훨씬 더 좋지만, PvP IV 100%의 성능에는 크게 못 미칠 것입니다. 공격 IV가 높으면 공격 IV가 체력, 방어 IV보다 CP에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치니, 덜 아프게 맞고 1대라도 더 때려서 기술을 발동시키는 것이 중요한 PvP에서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8cxs/btq6AOM0FXK/OMt2NanZj73039KS3Ttk61/img.jpg)
외부 애플리케이션 (PokeGenie, CalcyIV)에서 PvP IV (%, 순위) 등을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PvP IV는 애플리케이션인 PokeGenie, CalcyIV로 확인할 수 있고, 웹에서는 GoStadium을 이용하여 100%를 기준으로 몇 퍼센트 정도에 위치해 있는 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대부분 공격 IV가 낮고 체력, 방어 IV가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으니 검사하다가 의심스러우면 남겨둔 뒤 확인하면 되겠습니다.
하지만 공격 IV도 어느 정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, 기술이 같은 턴에 발동되었을 때 공격 실스텟이 더 높은 포켓몬의 기술이 우선적으로 발동한다는 규칙이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완전한 미러전 때는 공격 실성능 수치 역시 무시할 수 없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z5E4/btq6AvGYKrv/4YNWo46rRTT5O8h2tD2tQK/img.png)
이런 경우는 많지 않지만 예를 들어 치근거리기를 배운 마릴리끼리의 미러전의 경우, IV 8/15/15, 40레벨의 CP 1500 마릴리와 IV 15/15/15, 36레벨의 CP 1497 마릴리가 맞붙었을 때, 전자의 공격 실스텟은 94.8, 후자의 경우 97.4이므로 HP 29와 에너지 7를 남기고 100% IV의 마릴리가 승리합니다.
그렇기 때문에 방어 스텟을 선택할 지, 공격 스텟을 선택할 지는 여유에 따라 잘 고려해서 선택, 육성하면 되겠습니다.
2. 선발 포켓몬 정하기 |
선발 포켓몬을 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. 선발 포켓몬의 가위바위보에서 승리했다는 것은 게임의 절반은 먹고 들어간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. (...) 선발 포켓몬으로 추천하는 포켓몬은 다음과 같습니다.
추천 선발 리스트 | |||
파비코리 | 알로라 텅구리 |
만타인 | 테오키스 디펜스폼 |
용의숨결 | 회오리불꽃 / 병상첨병 |
거품 / 날개치기 |
카운터 |
불새 / 용의파동 |
섀도볼 / 뼈다귀치기 |
거품광선 / 냉동빔 또는 제비반환 |
스톤샤워 / 10만볼트 |
트로피우스 | 고우스트 | 메깅 | 레지스틸 |
잎날가르기 | 섀도크루 | 머드숏 | 록온 |
리프블레이드 / 제비반환 |
섀도볼 / 섀도펀치 |
진흙폭탄 / 눈보라 |
러스터캐논 / 기합구슬 |
슬리퍼 | 무장조 | 이상해꽃 | 마릴리 |
염동력 | 에어슬래시 | 덩쿨채찍 | 거품 |
섀도볼 / 번개펀치 |
불새 / 러스터캐논 |
하드플랜트* / 오물폭탄 |
하이드로펌프 / 치근거리기 또는 냉동빔 |
요가램 | 바리톱스 | 대짱이 | 알로라 라이츄 |
카운터 | 떨어뜨리기 | 머드숏 | 볼트체인지 |
폭발펀치 / 냉동펀치 |
스톤에지 / 화염방사 |
하이드로캐논* / 지진 또는 오물웨이브 |
번개펀치 / 와일드볼트 또는 풀묶기 |
2-1. 인기가 많은 주요 선발 포켓몬 |
마릴리 |
슈퍼리그에서 가장 강력한 포켓몬 중 하나입니다. 마릴리를 잡기 위해 대짱이는 지진을 버리고 '오물웨이브'를 사용하고, 트로피우스, 메가니움, 이상해꽃, 알로라 라이츄, 랜턴 등이 날뛰게 되는 원인입니다. 하이드로펌프를 고정으로 냉동빔과 치근거리기를 사용하기에 주의가 필요한 포켓몬입니다. 그렇기 때문에 상대를 할 때 거품 5회는 '냉동빔', 6회는 '치근거리기', 7회는 '하이드로펌프'라는 것을 숙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. |
레지스틸 |
레지스틸의 카운터인 알로라 텅구리, 메깅, 대짱이, 요가램, 루카리오, 알로라 라이츄 등이 슈퍼리그에서 등장하게 된 원인입니다. 파비코리, 트로피우스, 무장조 등은 레지스틸 앞에서 할 수 있는 것이 없으며 대부분 교체를 강요 당합니다. 대신 레지스틸도 때로는 테오키스 디펜스폼, 메가니움, 멜메탈 등에게 취약할 수 있습니다. 록온의 모션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러스터캐논은 6.5초, 기합구슬은 7.5초에 발동된다는 것을 숙지하면 되겠습니다. |
파비코리 |
경험상 8랭크까지 자주 보였던 포켓몬이고, 9랭크에서는 많이 볼 수 없었던 포켓몬입니다. 하지만 실드 0회를 기준으로도 강철 타입에게 충분한 위협이 되는 포켓몬임은 분명합니다. 주된 카운터로 레지스틸, 멜메탈, 강철톤, 지라치, 자포코일, 동탁군, 부분 카운터로 마릴리, 쥬레곤, 알로라 나인테일 등이 있습니다. |
테오키스 디펜스폼 |
높은 방어력을 가진 포켓몬으로 우수한 성능의 기술, 카운터와 스톤샤워를 사용하기 때문에 강철, 악 타입에게도 어느 정도 저항이 가능합니다. 해방 기술로는 레지스틸, 마릴리와 무장조를 골고루 견제할 수 있는 10만볼트가 적합합니다. 미러전 때는 10만볼트 사용하지 말고 스톤샤워로 밀어나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 |
2-2. 그 외 주목해야 할 선발 포켓몬 |
위의 포켓몬 외에도 많은 포켓몬이 선발로 등장합니다. 대표적으로 대짱이, 메깅 등이 있고, 이를 잡아내기 위한 풀 타입 기술을 사용하는 포켓몬 (트로피우스, 이상해꽃, 메가니움, 다탱구, 우츠보트, 엘레이드)와 또 이를 잡아내기 위한 포켓몬 (알로라 텅구리, 무장조, 멜메탈 등)이 계속 반복되어 나타날 것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usVt/btq6zhC5A2q/DoIOOaNge1f1j4k2BlVuXk/img.png)
얘네 셋은 선발, 후발 상관없이 1랭크부터 10랭크가 될 때까지 지겹도록 볼 수 있을 것입니다.
3. 배틀 파티 조합 |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fbnI/btq6AQKRVH6/4ow0ySflQXhvNyQmLwvnfk/img.png)
Gamepress에서 제시한 좋은 이미지 자료가 있습니다. 먼저 선발 포켓몬을 정하고, 시나리오를 짜보면서 만약 불리한 포켓몬을 만날 경우 어떤 포켓몬으로 커버할 수 있는 지,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 상대방이 다른 포켓몬으로 교체할 때 다른 포켓몬을 어떤 것을 꺼낼 지 등을 생각하면서 파티를 구성하도록 합시다.
1. 탱커
- 지라치, 멜메탈, 동탁군, 바리톱스, 레지스틸 등
- 무장조, 파비코리와 같은 비행 타입 또는 염동력을 사용하는 포켓몬을 상대로 강하고, 풀 타입과 물 타입 역시 어느 정도 압박이 가능합니다. 주로 선발로 뽑히는 경우 타입 싸움에서 유리함을 차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카포에라, 대짱이, 테오키스 디펜스, 메깅, 요가램, 루카리오, 독개굴, 곤율거니, 글라이온
- 이들은 풀 타입을 효과적으로 상대할 수 있지만, 격투 타입에 대해서는 스톤에지, 스톤샤워, 냉동펀치 사용을, 땅 타입에 대해서는 눈보라 사용을 경계해야 합니다.
4. 예시 |
예시 | 선발 | 후발 | |
A | 테오키스 디펜스 | 마릴리 | 멜메탈 |
카운터 | 거품 | 전기쇼크 | |
스톤샤워 / 10만볼트 |
하이드로펌프 / 냉동빔 |
엄청난힘 / 스톤샤워 |
|
B | 만타인 | 알로라 텅구리 | 멜메탈 |
날개치기 | 회오리불꽃 | 전기쇼크 | |
거품광선 / 냉동빔 |
섀도볼 / 뼈다귀치기 |
엄청난힘 / 스톤샤워 |
제가 사용했던 파티입니다. 8랭크까지 사용했으며 주요 타겟은 레지스틸, 마릴리, 테오키스 디펜스, 파비코리에 강하도록 설계했습니다. 선발을 이 둘로 정한 이유는, 테오키스의 격투, 바위, 전기의 조합이 대부분의 포켓몬에게 유효타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. 만타인의 경우 날개치기와 거품광선으로 실드 제거, 디버프, 교체 유도 등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괜찮은 선택지였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8Gbl2/btq6zRRe1JV/b01VWhlIOBb6dGOXSh3Qy0/img.png)
파티 조합이 어렵다면, PvPoke의 Team builder 기능을 이용해보는 것도 좋습니다.
다만 9랭크부터는 위 4마리의 포켓몬보다 이를 잡기 위한 파티를 역으로 다시 카운터 치는 포켓몬의 반복입니다. 현재 대짱이가 인기 포켓몬이라고 생각되는데, 첫 번째 파티는 대짱이에게 취약하기 때문에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. 하지만 워낙 포켓몬 하나하나가 강력하기 때문에 랭크업을 노리시는 분들께는 충분히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
4. 참고 |
랭크 7부터 9랭크 레이팅 3400+ (매칭 레이팅 3380~3670)까지 만난 포켓몬을 기록해 보았습니다. 배틀파티 구성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.
'포켓몬 G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포켓몬고] 2세대 졸업 스킬 (추천 기술) 정리 : 레이드, PvP (0) | 2021.06.05 |
---|---|
[포켓몬고] 1세대 졸업 스킬 (추천 기술) 정리 : 레이드, PvP (0) | 2021.06.04 |
[포켓몬고] PvP 배틀파티 가이드 : 트레이너 배틀에서 승리할 수 있는 조합을 만들어봅시다! (0) | 2021.06.04 |
[포켓몬고] PvP에 앞서, 포켓몬의 IV에 따른 실제 스텟과 리그별 최대 CP를 확인해보자! (0) | 2021.06.04 |
[포켓몬고] 이번에는 어떠한 그림자 포켓몬을 잡을까요? (0) | 2021.06.04 |
댓글